음지식물 - 최서림
아직도 연탄을 때는, 연탄재처럼
사위어버린 둘째 형을 생각하다가
눈물이 찔끔 나왔다
펑펑 울어 보고파
울음통을 두들기고 두드려봤지만
텅, 텅, 빈 소리만 흘러나왔다.
중학을 마치고 고물상으로 들어가
망망대해 서울살이를 향한 돛을 올렸다.
음지식물 같은 여자를 만나
외떡잎 닮은 아이를 낳았다.
택시기사, 배달원, 경비원으로 옮겨 다니는 사이
불량품 돛이 금방 다 부서져버렸다.
외떡잎 아이마저 떡깔나무 숲에 뿌린 후
조카 결혼식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삭아버린 항구 같은 엄마가
해마다 설 추석이면
오지 않을 줄 뻔히 알면서도, 버스정류장에서
'독한 놈, 나쁜 놈' 중얼거리면서도
흐릿한 눈으로
내리는 사람마다 찬찬히 살펴보고 있다.
*시집/ 가벼워진다는 것/ 현대시학사
가벼워진다는 것 - 최서림
미움이 꼭대기까지 올라가면
용서의 계곡도 가까워진다.
나같이 마음이 뚱뚱한 사람들에겐
내려가는 길이 더 멀고 힘들다.
울룩불룩 균형이 안 잡힌 마음의 관절이 자그락거려
계곡을 바로 앞에 두고 곧잘 주저앉는다.
까치처럼 가난해진다는 것은 그만큼 가벼워진다는 것이리라.
마음에 구멍이 많아진다는 것이리라.
# 최서림 시인은 1956년 경북 청도 출생으로 서울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3년 <현대시>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이서국으로 들어가다>, <유토피아 없이 사는 법>, <세상의 가시를 더듬다>, <구멍>, <물금>, <버들치>, <시인의 재산>, <사람의 향기>, <가벼워진다는 것> 등이 있다.
'한줄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녁은 빗나가거나 묘미를 찾거나 - 김지헌 (0) | 2021.10.09 |
---|---|
줄에 관한 생각 - 박주하 (0) | 2021.10.08 |
지는 저녁 속으로 홀로 떠미는 - 안태현 (0) | 2021.10.05 |
빈 구두와 날짜들 - 이자규 (0) | 2021.10.05 |
잊힌 후 - 박남원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