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에 대한 기억 - 최준
계산속으로는
하루에 하루를 더하면 이틀이 맞다 맞지만
두레박에서 부엌까지
여름에서 다시 여름까지
하늘을 이고
물동이가 오간 거리는 별들이나 읽을 수 있던 시간
할머니 적 얘기다
우물 안 개구리가 구름 위로 팔짝 뛰어오르기도 하고
버드나무 화살촉 하나가 그 어두운 구멍을 향해
잘못 쏘아지기도 하고
넘칠 일 없는 함박눈이 둥근 적요를 메워보려고
무리하게 겨울을 온통 겨울로 안간힘 쓸 때도
무릎 한 번 출렁이지 않고 그냥 버텼을 거다
할머니 돌아가신 지 삼십 년
뒤란 장독대를 반짝여주던 북극성을 묻어버리고
버드나무 밑동을 잘라
마지막 아궁이에 불을 지피던 저녁
남몰래 지워진 길이 하나 있었을 거다
아무도 만져주지 않았던 시간이 저 홀로
먼 길을 가고 있었을 거다
눈물 흘러넘치면서
먼 산 무덤 속으로 그 하루를
무쇠솥에 펄펄 물 끓였을 거다
이건 다 할머니 적 얘기
돌아오기도 전에
일찍 집을 떠났던 아버지는 아주 멀리서
너무 늦게야 할머니의 이름을 불렀다
이를테면, 내가 어머니를 우물에 빠뜨리고 나서야
물동이가 비어 있었음을 알아챘듯이
*시집/ 칸트의 산책로/ 황금알
가여운 추억 - 최준
길에 대한 기억밖엔 없네
엄마, 당신이 끌고 가신 유년
네 번의 전학과 일곱 번의 이별 사이에서
선풍기가 태어나고 사벌식 타자기 그리고, 냉장고
티브이는 실내 안테나에서 위성으로
천연색 그리움을 가르쳐주려 그러셨나요
젖가슴에서 엄마에서
추억의 어머니로
유모차는 영원히 당신 것
세발자전거는 아직도 내 것
아, 엄마 안 계신 추억이 무거워
땀 젖은 신발 벗듯, 아무 데서나 내려놓네
*시인의 말
삶의 시간이 늘 버겁다.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어제와
살아 있으니 살아야 하는 오늘과
미지의 내일 사이에 늘 어둠이 도사리고 있다.
시간이라는 게 대체 무엇인가?
누구도 정의하지 못한 시간을 여직 버티면서
고단한 삶을 함께한 이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살아 있는 한
지상의 모든 이들도 더불어 살아 있기를.
사랑한다. 문명과 자연을, 사람을,
시간을 공평하게 나누어 가진
생사의 한 시절을 함께했다는 그 인연만으로도.
'한줄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가 날아간 후 - 박주하 (0) | 2021.05.28 |
---|---|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해 - 손병걸 (0) | 2021.05.28 |
물의 저녁 - 손남숙 (0) | 2021.05.27 |
마지막 항구에서 - 이형권 (0) | 2021.05.27 |
환절기 - 이용호 (0)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