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 詩

아무 말도 없는 추석날 - 김이하

마루안 2018. 9. 22. 23:33

 

 

아무 말도 없는 추석날 - 김이하

 

 

윗목도 아랫목도 없는 방에

가족이라고 모여 저녁밥을 먹고

텔레비전만 멍하니 바라보며 말이 없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윈 어머니

늦도록 장가 못간 아들, 며느리 집 나간 아들

어미 없는 아이들, 아비 없는 아이들

할말이 없는 것도 아닌데

입이 없는 것도 아닌데

 

모두 말이 없이 길게 누워

심드렁하니 누웠다가 이내 잠들거나

방 밖에 멀리 보이는 달을 보거나

담배를 한 대 피워 물거나

텔레비전은 밤새 켜 있고

 

윗목도 아랫목도 없는 방에

이제는 아물었을 법한 상처들 한 가득 재워 놓고

그러고도 아무 말 없이 깨어나 차례를 받들고

항아같은 그리움으로도 오지 않은 사람

가서는 오지 않는 사람들을

먼 눈가에 그려보는 것인지

 

서둘러 밥을 먹고 자리를 뜬다

가족이라고 모여 놓고도 가족이 아닌 것처럼

조용히 길을 떠나는 것이다, 쓸쓸한 추석

어디에도 못 가고 잠긴 목소리로 전화를 받는 친구는

이런 게 왜 있느냐고, 왜 있었느냐고

 

 

*시집, <춘정, 火>, 바보새

 

 

 

 

 

 

갈대숲에는 아버지가 산다 - 김이하

 

 

열 살 때 떠난 아버지는

돌아오지 않았다

구릉들 논이 날아가고

서남징이 장구배미도 동구점 논배미도

아버지 뒤를 따라 나간 뒤로

다시는 우리의 양식을 대주지 못하고

아카시 그늘 아래 미꾸리못만 남아

서러운 시절을 나며

내가 중학교에 갈 때도

아버지는 소식 없었다

읍내에서 돌아오는 버스를 놓치고

어둑어둑한 이십 리 길 걸어오면

등 뒤에는 땀이 흥건한데

냇가의 갈대 위로 달은 높았다

헝클어진 머리, 해쓱한 얼굴

암으로 날마다 야위어 가던 아버지

어느새 갈대가 되어

그 밤길 지켜 주고 있었다

 

 

 

 

# 김이하 시인은 1959년 전북 진안 출생으로 1989년 <동양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내 가슴에서 날아간 UFO>, <타박타박>, <춘정, 火>, <눈물에 금이 갔다> 등이 있다.

 

 

'한줄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골 공원에서 노인들을 보다 - 정병근  (0) 2018.09.27
도둑과 시인 - 이상국  (0) 2018.09.27
여름과 가을 사이 - 김남극  (0) 2018.09.22
달의 법칙 - 김하경  (0) 2018.09.22
아버지는 나귀 타고 - 이서화  (0) 2018.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