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독한 한 송이 꽃 - 정기복
열다섯 이후
불러보지 못한 아버지
황토밭머리 삭은 수숫대로 누운 채
흙살 풀리는 이른 봄이면
뼈마디 뒤척여
한 송이 꽃 스무 해나 피워 올린다
살 썩히고도 다 하지 못한
사모(思母)의 정이
저리도 뼈저리게 고개 숙인 자줏빛일까
식솔 다 거두지 못한 미련이
이리도 시린 향기일까
죽음을 먹고 자라
살아 있음의 통증을 확인시키는
맨 처음 지상의 슬픈 일
나를 세상에 있게 한
저 빛깔 보노라면
울렁이는 황토, 울렁이는 하늘
가슴마저 울렁이게 하는
꽃의 떨림, 꽃의 분출
살아 모진 바람이었던 아버지
뿌리 독한 꽃 한 송이
뽀-옥 피워 올린다
할미꽃,
몇 광년, 어느 행성에서 온 별똥별이면
나 꽃 피워 올릴 수 있을까?
*시집/ 어떤 청혼/ 실천문학사
모란공원, 여름 - 정기복
풀쐐기 떡갈나무 잎사귀에 붙어
방해꾼 살갗을 경계하며
한 끼 고단한 식사를 마치는 때
온몸으로 울던 매미소리 그치고
노래를 가진 모든 풀벌레들이
일시에 귀를 닫아버리는 정적의 순간
먹구름 갈라
천둥 울고
번개 쳐 내립니다
벌에 쏘인 듯 찌르르 울리던
놀란 손 얼떨결에
나뭇가지 하나 움켜잡습니다
허공에 숨어지내던 천둥 번개도
사시장철 풀과 나무를 기르는
땅에 와서야 존재를 드러냄을
힘껏 내리쳐 알곡 쭉정이 갈라놓던
도리깨 물푸레나무 잡고서야
꺾이지 않는 죽음, 장대비에 적십니다
'한줄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물이 나오는 순서 - 김태완 (0) | 2021.06.21 |
---|---|
코로나 평등 - 최영미 (0) | 2021.06.20 |
새의 감정 - 김유미 (0) | 2021.06.19 |
저녁의 후회 - 박주하 (0) | 2021.06.19 |
아날로그는 슬픔의 방식을 눈물로 바꾸는 거예요 - 이기영 (0) | 2021.06.16 |